
페이스북 계정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거나, 잠시 쉬고 싶을 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.
바로 비활성화(Deactivate)로 임시 휴면 상태를 만드는 것과, 영구 삭제(Delete)를 통해 완전히 탈퇴하는 것이죠.
아래에서 두 옵션의 차이와 구체적인 절차를 살펴보세요.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■ 1) 비활성화 vs 삭제(탈퇴)의 차이
- 비활성화 (Deactivate Account)
- 특징
- 계정을 임시 중단하는 개념입니다.
- 내 프로필, 게시물, 댓글 등 대부분이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습니다.
- 원할 때 언제든지 다시 로그인하여 복원할 수 있죠.
- 이런 분께 추천
- “잠깐 페이스북을 쉬고 싶은데, 계정 자체를 없애고 싶지는 않다.”
- “게시물이나 친구 목록을 그대로 유지하되, 일시적으로 숨기고 싶다.”
- 삭제 (Delete Account, 탈퇴)
- 특징
- 페이스북 서버에서 계정을 완전히 삭제합니다.
- 일정 기간(보통 30일, 내부적으로 90일 처리)에 걸쳐 모든 데이터가 지워지며, 이후에는 복구가 불가능합니다.
- 사진, 게시물, 메시지까지 완전히 없어집니다.
- 이런 분께 추천
- “페이스북을 아예 안 쓸 예정이고, 내 정보도 삭제하고 싶다.”
- “계정을 남겨둬야 할 이유가 전혀 없다.”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■ 2) 비활성화(Deactivate) 방법
아래 단계는 PC 웹브라우저 기준으로, 모바일 앱에서도 유사한 메뉴 구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페이스북에 로그인한 뒤, 오른쪽 상단 프로필 아이콘(또는 아바타 아이콘) 클릭
- ‘설정 및 개인정보’ → ‘설정’(Settings) 선택
- 왼쪽 메뉴에서 ‘내 Facebook 정보(Your Facebook Information)’ 클릭
- ‘비활성화 및 삭제(Deactivation and Deletion)’ 항목을 찾고, ‘보기(View)’ 또는 ‘확인’ 버튼 클릭
- ‘계정 비활성화’ 옵션을 선택하고 ‘계정 비활성화’ 버튼 클릭
- 비활성화 사유, 비밀번호 재입력 등 요구사항을 완료하면 계정이 비활성화됩니다.
Tip:
비활성화 후에는 다시 로그인하면 즉시 계정이 복원됩니다. 정말 안 쓰려고 했는데 무심코 로그인해버리면 계정이 살아나니, 주의가 필요합니다.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■ 3) 영구 삭제(탈퇴) 방법
비활성화와 동일한 경로를 통해 진행하되, ‘계정 삭제’를 선택하면 됩니다.
< PC 웹에서 진행하는 경우 >
- 페이스북 로그인 → 오른쪽 상단 프로필 아이콘 클릭
- ‘설정 및 개인정보 → 설정(Setting)’으로 이동
- 왼쪽 메뉴에서 ‘내 Facebook 정보(Your Facebook Information)’ 선택
- ‘비활성화 및 삭제(Deactivation and Deletion)’ 또는 ‘계정 소유 및 관리’ 항목 클릭
- ‘계정 삭제(Delete Account)’ 항목을 선택하고, ‘계정 영구 삭제 진행’ 버튼 클릭
- 비밀번호 재확인 및 안내 메시지 확인 후, 최종적으로 삭제 요청
< 모바일 앱에서 진행하는 경우 >
- 페이스북 앱 로그인 → 오른쪽 상단 (≡) 메뉴 탭
- ‘설정 & 개인정보 → 설정’
- ‘내 Facebook 정보’(혹은 ‘개인정보’ 탭)에서 ‘비활성화 및 삭제’ 메뉴 진입
- ‘계정 삭제’ 선택 후 안내에 따라 순서대로 진행
- 유예 기간
- 계정 삭제를 신청하면 보통 30일 동안은 다시 로그인 시 삭제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.
- 이 기간이 지나면, 최대 90일 내에 모든 데이터가 서버에서 사라집니다.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■ 4) 삭제 전 백업(Download Your Information)
계정을 영구 삭제하기 전에, 혹시 추억의 사진이나 게시물을 백업하고 싶다면 ‘개인 정보 다운로드’ 기능을 이용하세요.
- 설정 → 내 Facebook 정보
- ‘정보 사본 다운로드(Download Your Information)’ 클릭
- 게시물, 사진, 메시지, 친구 리스트 등 다운로드할 항목을 선택
- 파일 형태(HTML 또는 JSON)와 날짜 범위를 설정한 뒤 파일 생성 요청
- ZIP 파일을 받아보면 소중한 자료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.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■ 5) 추가 주의사항
- 메신저(Facebook Messenger)
- 페이스북 계정을 삭제하면 메신저도 함께 탈퇴됩니다.
-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메신저를 계속 쓸 수 있지만, 삭제하면 아예 쓸 수 없죠.
- 사이트 로그인 계정
- 다른 웹사이트나 앱에 ‘페이스북 로그인’을 이용하는 경우, 계정을 삭제하면 로그인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.
- 계정 삭제 전에 구글 계정이나 이메일로 로그인 방식을 변경해두세요.
- 페이지·그룹 운영자
- 페이스북 페이지나 그룹의 ‘단독 관리자’라면, 본인 계정 삭제 시 해당 페이지나 그룹도 운영 불가 상태가 됩니다.
- 미리 다른 관리자 또는 운영자를 지정해야 안전합니다.
- 삭제(탈퇴) 후 복구
- 비활성화는 다시 로그인하면 복원이 가능하지만, 영구 삭제는 30일 이내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계정이 완전히 사라집니다.
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■ 6) 요약
- 비활성화:
- 임시 휴면
- 다시 로그인하면 복구
- 메신저 사용 가능 (설정에 따라)
- 완전탈퇴(삭제):
- 30일 유예 후 영구 삭제
- 이후 데이터 복구 불가능
- 메신저도 탈퇴됨
- 삭제 전 백업 필수:
- 사진, 게시물, 메시지 등 미리 다운로드
- 페이스북 로그인으로 가입한 사이트/앱은 다른 로그인 수단으로 바꿔야 함
- 페이지/그룹 단독 관리자라면:
- 다른 관리자나 운영자를 추가해두어야 페이지가 살아남을 수 있음
페이스북 계정과 완전히 이별할지, 잠시 쉬어갈지 결정하셨다면 위 방법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.
혹시 메뉴 구성이 조금 다르다면, 페이스북 정책이나 버전에 따라 UI가 변경된 것이니
‘설정’ → ‘내 Facebook 정보’나 ‘개인정보’ 탭을 중심으로 꼼꼼히 확인해보세요.
“정말 안 쓸 거라면 완전탈퇴도 좋지만,
조금이라도 고민된다면 비활성화가 안전한 선택입니다.”
원하는 방법을 신중하게 택하시고,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 되길 바랍니다.
(면책 고지: 본 게시물은 일반적인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으며, 실제 정책이나 UI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페이스북 공식 도움말을 최종적으로 참고하세요.)